반응형

김주환-You Must Believe in Spring

보컬리스트 김주환이 디지털 싱글 " You Must Believe in Spring "을 발표했다.

김주환-You Must Believe in Spring 바로듣기

김주환-You Must Believe in Spring 가사

When lonely feelings chill
The meadows of your mind
Just think if Winter comes
Can Spring be far behind
Beneath the deepest snows
The secret of a rose
Is merely that it knows
You must believe in Spring
Just as a tree is sure
Its leaves will reappear
It knows it's emptiness
Is just the time of year
The frozen mountain dreams
Of April's melting streams
How crystal clear it seems

더보기


You must believe in Spring
You must believe in love
And trust it's on it's way
Just as the sleeping rose
Awaits the kiss of May
So in a world of snow
Of things that come and go
Where what you think you know
You can't be certain of
You must believe in Spring and love
You must believe in love
And trust it's on it's way
Just as the sleeping rose
Awaits the kiss of May
So in a world of snow
Of things that come and go
Where what you think you know
You can't be certain of
You must believe in Spring and love

김주환-You Must Believe in Spring 

미셸 르그랑이 남긴 봄, 그리고 사랑에 대한 시성 어린 찬가! 이 명곡을 보컬리스트 김주환이 자신의 우상인 토니 베넷, 그리고 빌 에번스와 함께한 명 버전에 고스란히 헌정하는 느낌을 담아 가진 감성 그대로 노래한다.

 


유키의 피아노와 함께 내부로 수렴해 절제하되, 전달되는 감정의 폭은 더욱 크고 잔향이 오래 남도록 의도한 두 뮤지션의 어울림이 머지 않아 찾아올 봄을 소슬히 기다리게 만든다.
- 김희준 (MMJAZZ 편집장)

프랑스 영화 음악 거장 미셸 르그랑의 이 클래식을 혹자는 “희망과 사랑,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시적 로맨티시즘의 걸작”이라고 했다. 가장 유명한 버전은 역시 토니 베넷과 빌 에반스의 것일 텐데 김주환과 유키 후타미는 저 거장 듀오의 솔풀(soulful)한 맛과 2분이 넘는 피아노 솔로를 첫 소절의 ‘식은 고독의 감정’으로 데려가기 위해 약간의 격정, 그 이면의 긴장을 함께 허락했다. 스산한 체념 속에 묻은 이 차분한 열기는 인생이란 계절의 풍요와 공허, 사랑의 상실감이 피아노/보컬 재즈 듀오 안에서 어떻게 발화하고 잦아들 수 있는지 열린 해답의 형식으로 들려주고 있다. 슬프도록 아름다운 노래와 연주다.
- 김성대 (대중음악평론가)

written by Michel Legrand, Jacques Demy, Alan Bergman, Marilyn Bergman

voice : Juhwan Kim
piano : Yuki Futami
recorded by Jimin Kim @minorswing studio
mixed & mastered by Juhwan Kim
artwork Sori Lee

 

김주환-You Must Believe in Spring [가사/듣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흙

스포츠, 뉴스, 음악, 등 연예

,
반응형

김주환-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김주환이 디지털 싱글 "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 를 발표했다. 

김주환-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바로듣기

김주환-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가사

I need your love so badly
I love you oh so madly
But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I thought at last I found you
But other loves surround you
And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if you'd surrender
Just for a tender kiss or two
You might discover that I'm the lover

더보기


Meant for you and I'd be true
But what's the good of scheming i'm dreaming
For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cause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김주환-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국내에선 잘 알려지지 않은 스탠더드 넘버중 하나인 이 곡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프랭크 시나트라나 빌리 홀리데이, 쳇 베이커, 엘라 피츠제럴드 같은 명창들의 보컬 버전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 선배들의 버전에 비해 좀 더 템포와 음사이의 인터벌을 여유롭게 두고서 다른 악기의 도움 없이 오직 피아노와 듀엣을 시도한 김주환의 노래는, 음절 하나, 호흡 하나가 세밀하게 드러나 있으며 기술및 감성적인 측면 모두 내적으로 수렴되어 처연한 느낌을 자아낸다.

이렇게 절제하면서 섬세하게 목소리를 컨트롤하는 것도 사실 어렵지만 피아노 반주자가 이런 표현에 대해 수동적이지 않으면서, 또 과함 없이 적절하게 해석에 개입하고 전체에 영감을 불어넣어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일본의 피아니스트 후타미 유키는 발군의 솜씨로 김주환과 준수한 교감을 들려주고 있다.

보컬-피아노 듀오의 상호 인터플레이가 어떤 것인지 궁금한 이들에게 들려주면 좋을 곡이 아닌가 싶다.

글 / 김희준 (MMJAZZ 편집장)

듀오는 단 두 사람의 호흡이란 점에서 여백이 많은 편성이다. 여백은 어감에서 헐거운 느낌을 동반하지만 그 안에 던져진 듀오는 그 여백을 채우기 위해 남몰래 분주하다. 긴장의 이완이 듀오의 긴장에서 비롯되어야 한다는 이 야릇한 역설. 싱어 김주환과 피아니스트 유키 후타미는 빙 크로스비가 부른 뒤 수많은 재즈 음악가들이 저마다 악기와 목소리로 해석해온 고전 ‘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를 통해 그 역설(逆說)을 역설(力說)하고 있다.

가볍되 얕지 않고 릴렉스한 느낌이면서 타이트한 힘도 거느려야 하는 이 과제를 두 사람은 빌 샬랍과 샌디 스튜어트의 스타일을 오마주 하는 것으로 풀어나간다. 두 모자(母子)가 재즈 팬들을 세상에서 가장 아늑한 서정으로 이끈 그것은 배려와 관조를 통해 공존하는 방식이었다. 각자의 걸음걸이로 보폭을 맞추고 의식할 수 있을 만큼만 곁을 지키는 온기로 빌과 샌디는 곡 속에 웅크린 사랑의 열정을 다독였다.

김주환과 유키 후타미 버전의 경우 피아노가 떨구고 가는 침묵을 보컬이 어떻게 깨워 내는지, 또 보컬이 물러나고 피아노가 홀로 남겨졌을 때 자신에게 주어진 공허를 어떤 타건으로 보듬어 내는 지 귀기울여 보라. 어느 순간 빌과 샌디 모자처럼 여백의 역설 사이에서 성공적으로 공생하는 두 사람이 보일 것이다.

글 / 김성대(대중음악평론가)

 

김주환-I Don't Stand a Ghost of a Chance with You [가사/듣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흙

스포츠, 뉴스, 음악, 등 연예

,
반응형

김주환-That's What Friends Are For

김주환이 디지털 싱글 " That's What Friends Are For "을 발표했다.

김주환-That's What Friends Are For 바로듣기

김주환-That's What Friends Are For 가사

And I never thought I’d feel this way
And as far as I’m concerned
I’m glad I got the chance to say
That I do believe I love you

And if I should ever go away
Well, then close your eyes
And try to feel the way we do today,
And then if you can remember,

Keep smiling, keep shining
Knowing you can always count on me
For sure That’s what friends are for

더보기

For good times and bad times
I’ll be on your side forever more.
That’s what friends are for

Well, you came and opened me
And now there’s so much more I see
And so by the way I thank you

And then for the times when we’re apart
Well, then close your eyes and know
These words are comin’ from my heart
And then if you can remember, oh

Keep smiling, keep shining
Knowing you can always count on me, for sure

That’s what friends are for 
In good times, in bad times
I’ll be on your side forever more
Oh, that’s what friends are for

김주환-That's What Friends Are For

지난 5월 기타리스트 탁경주와 함께 한 'Comes Love'에 이어 보컬리스트 김주환이 내놓는 '듀오' 프로젝트의 두 번째 결과물이다. 이번엔 싱어, 프로듀서, 작곡가로서 김주환 스스로가 롤모델로도 삼을 수 있을 버트 배커랙의 'That's What Friends Are For'를 기타리스트 하범석과 요리했다.

 


원곡은 론 하워드 감독의 82년작 '뉴욕의 사랑(Night Shift)'에 삽입된 로드 스튜어트 버전이지만 로드의 노래는 당시 빌보드 싱글 차트 20위권에 만족해야 했다. 대중은 이 노래의 가치를 3년 뒤에야 발견하게 되는데 스티비 원더, 엘튼 존, 글래디스 나이트가 피처링한 디온 워릭의 버전을 접하면서였다.

디온과 친구들의 열창은 결국 같은 차트 정상에 4주 연속 오르며 단순한 팝 작곡가를 넘어 한 시대 팝을 정의 내렸다는 평가를 받는 버트 배커랙과 그의 두 번째 아내이자 작사가였던 캐롤 베이어 세이거에게 평생의 대표곡을 선물했다.

달콤하고 단단하며 넉넉한 발성, 음색을 가진 김주환은 듀오로서 이 곡을 작품 내면의 신비로운 낭만에 방점을 찍는 쪽으로 가닥을 잡는다. 즉 스티비 원더의 아늑한 하모니카와 네 싱어의 완벽한 화음 대신 별빛처럼 공간을 채우는 기타에 벨벳 위를 미끄러져 가듯 부드러운 보컬의 어울림을 택한 것이다. 특히 흐르는 내내 미소와 빛을 잃지 않는 원곡의 본질을 간직한 하범석의 기타는 스치듯 예리하게 훑어내는 마지막 솔로까지 더해 김주환이 전하려 한 재즈팝 감성을 마지막 한 조각까지 챙겨낸다.

진정한 우정에 관한 노래답게 한자리에 모여 이 곡을 녹음한 디온 워릭과 친구들의 버전은 300만 달러 가까이를 벌어들이며 미국 에이즈 연구 기금에 보탬이 됐다.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나 완성된 김주환의 노래는 담백하고 섬세한 어쿠스틱 기타 한 대와 호흡을 맞춰 지난 2월 8일 세상을 떠난 버트 배커랙의 추모곡이 되었다. 음악의 사연은 이처럼 우연인 듯 필연처럼 우리에게 온다. 물론 두 버전 모두 감동적인 건 매한가지다.

김성대 / 대중음악평론가


재즈 스탠더드의 매력은 확장성에 있다. 한국 재즈보컬의 계보를 이어가는 '김주환'의 방식 또한 그러하다.

이번 싱글은 디온 워윅의 곡을 기타리스트 '하범석'과 함께 재탄생시킨 결과물이다. 김주환은 원곡에 절제된 스윙감이라는
확장성을 담백하게 담아냈다.

나는 응원한다. "That's What Jazz Vocalist Is For" 이라는 문장으로.

이봉호 / 대중문화평론가

 

김주환-That's What Friends Are For [가사/듣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흙

스포츠, 뉴스, 음악, 등 연예

,